그림

카카오톡 이모티콘 만들기 3편 – 출시 준비 & 스토어 등록 과정

하비앤쏠 2025. 10. 11. 16:00
반응형
SMALL

카카오톡 이모티콘 만들기 3편 – 출시 준비 & 스토어 등록 과정

카카오톡 이모티콘 만들기 3편 – 출시 준비 & 스토어 등록 과정
카카오톡 이모티콘 만들기 3편 – 출시 준비 & 스토어 등록 과정

 

1. 드디어 완성된 내 캐릭터, 이제는 ‘상품’이 된다

앞선 1편과 2편에서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캐릭터를 그려 24종(또는 32종) 규격에 맞춰 이미지를 제작했다면 이제 남은 건 출시 준비예요. 완성된 파일을 보기 좋게 정리하고,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에 업로드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야 하죠.
이 단계에서는 이미지 파일명 정리압축파일 생성이 중요합니다. 파일 이름을 ‘001.png, 002.png…’처럼 순차적으로 붙이고, 이모티콘 메인 이미지·상세페이지·썸네일까지 함께 준비해 두면 등록이 한결 수월해집니다.

반응형

2.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 계정 만들기

카카오 이모티콘을 등록하려면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https://emoticonstudio.kakao.com/)에 작가로 가입해야 합니다. 일반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 후 ‘작가신청’을 하고, 본인인증·약관동의·정산 계좌 등록까지 완료하면 준비 끝!
이 과정이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지만, 나중에 판매 수익을 받을 때 꼭 필요한 단계라 꼼꼼히 입력하는 게 좋아요.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

카카오 이모티콘 만들기, 제작 제안, 승인 후 출시 및 판매

emoticonstudio.kakao.com

 

 

3. 등록 절차 – 이미지 업로드 & 설명 작성

계정을 만들었다면, 이제 내 이모티콘을 업로드할 차례예요.

  • 이미지 업로드: 규격에 맞춘 24종(또는 32종) 이미지를 업로드
  • 대표 이미지: 스토어에서 보이는 메인 썸네일
  • 상품명·설명 작성: 검색 유입률을 높이려면 ‘귀여운 강아지 일상 이모티콘’, ‘공감 100% 육아맘 이모티콘’처럼 키워드를 제목·설명에 자연스럽게 녹여 넣으면 좋아요.
  • 가격 설정: 기본 2500원~3500원대가 일반적이지만, 시즌별 이벤트나 세트 구성으로 더 많은 구매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4. 심사 과정 – 평균 7~10일

카카오 심사는 보통 7~10일 정도 걸립니다. 심사 기준은 △저작권 문제 △공공질서 위반 여부 △이미지 규격 △중복성 등입니다. 이때 거절되면 사유가 함께 안내되니, 수정 후 재심사를 받을 수 있어요.


작가들 사이에서는 **“첫 심사 때 깔끔히 통과하려면, 텍스트나 브랜드 로고는 최대한 자제하고, 콘셉트를 명확하게”**라는 팁이 있을 정도예요.

SMALL

5. 출시 후 홍보 & 수익화

심사를 통과하면 카카오톡 이모티콘 스토어와 기프트샵에 출시됩니다. 이제부터는 홍보 전략이 중요해요.

  • SNS·블로그·인스타그램·카카오톡 프로필에 출시 소식 공유
  • 제작 과정을 콘텐츠로 만들어 업로드 (유입률↑)
  • 이벤트: “이모티콘 구매 인증샷 남기면 추가 일러스트 제공” 같은 소소한 프로모션

실제로 많은 작가들이 자신의 블로그·인스타그램에 이모티콘 제작기와 출시 소식을 동시에 올리며 ‘작가 스토리’까지 함께 알립니다. 이런 개인 스토리가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주어 구매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요.

 

6. 수익 구조 & 정산

판매된 이모티콘 수익은 카카오와 일정 비율로 배분됩니다. 판매가·기간·이벤트 등에 따라 다르지만, 꾸준히 홍보하면 월 몇십만 원~백만 원 이상도 가능하다는 사례가 많습니다.
특히 육아·직장인·감정표현·공감대 이모티콘은 꾸준한 수요가 있어서 ‘롱런템’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제 출시까지 마쳤다면, 다음 단계는 내 캐릭터를 활용한 굿즈·스티커·인쇄물·SNS 콘텐츠로 확장하는 것입니다. 4편에서는 내 캐릭터 IP 확장법부수입 올리는 팁을 다뤄보려 합니다.

 

반응형
LIST